한방-교통사고 후유증
염좌(삐임)는 인대(힘줄)나 근육이 늘어나거나 몇가닥 또는 전부가 끊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대개의 염좌는 관절부위를 무엇에 얻어맞거나 비정상적으로 비트는 운동,
교통사고와 같은 외상 등에 의해 생깁니다. 염좌가 잘 생기는 부위로는 발목, 무릎,
손목 등이고 교통사고의 경우는 목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교통사고 등의 충돌사고 때 충격으로 경부가 채찍처럼 휘어져서 생기는 경부손상입니다.
정차 중에 추돌 되었을 때에는 경부는 같은 위치에 남고 몸만 앞으로 가려고 하기 때문에, 경부가 뒤로 당겨졌다가 그 반동으로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경부가 손상됩니다.
정면충돌인 경우에는 반대로 몸이 뒤로 가려고 하기 때문에 먼저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진 뒤에 경부가 뒤로 당겨지기 때문에 생깁니다. 정면충돌인 경우에는 턱이 가슴에 부딪치고, 측면에서 충돌된 경우에는 귀 부분이 어깨에 부딪치기 때문에 그 이상 목은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추돌되었을 때보다는 경추부 염좌는 잘 생기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염좌가 생기면 즉시 통증이 생기고 부어오르게 되며, 심한 경우는 내출혈이 되어 멍이 들기도 합니다. 대개 증상이 48시간 내에 좋아지기 시작하고 10-14일이 지나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보통이나 무릎이나 허리 등은 완전회복에 1-2개월이 걸리기도 합니다.
사고로 충격 후 수 시간 또는 수 일 이내에 동통(가만 있어도 아픈 것), 압통(누르면
아픈 것), 근경련 또는 강직에 의한 운동 제한을 볼 수 있고 때로는 구토, 두통, 현훈, 시력 장애, 이명 등 청각 장애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세들은 수 일 또는 수 주 내에 대부분의 환자는 점진적인 호전을 보입니다. 그러나 통증이 만성화하여 장기간 지속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교통사고 후에는 주의를 요합니다.
초기 치료로는 염좌된 관절을 고정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에게 진찰을 받아야 하며 만약 병세를 가볍게 보고 진찰을 게을리 하거나 돌아다니면 회복이 늦어집니다.
동통과 부종 등의 염증이 있을 때에는 냉찜질을 하고 붓기가 내리고 염증이 가시면
따뜻하게 하는 찜질로 바꿉니다. 그 후 경과를 보면서 뜨겁게 한 타월로 관절을 싸거나 적외선을 조사하는 온열요법을 합니다. 목욕도 적절한 온열요법이므로 염증이 가시면 해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관절을 주무르거나 마사지를 해서는 안 됩니다.
염좌는 치료되기까지 2~3주일 걸립니다. 중증인 경우를 제외하면 6주일 이내에 증세가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 이상 지나도 증세가 없어지지 않을 때에는 치료가 어렵습니다.
한방적인 치료로는 교통사고에 의해 심한 외상으로 골절이나 척수손상을 입은 경우를 제외한 경추부 디스크 및 염좌는 근육과 인대의 손상을 동반한 어혈(瘀血)과 담음(痰飮: 흔히 "담이 들었다"라는 말로 표현)으로 보고 치료를 합니다. 기본적으로 보존요법을 시행하면서 한방적인 침요법, 한약복용, 부항요법, 봉독요법, 약침요법, 테이핑요법, 추나등의 수기요법 등을 활용합니다.
경추부 염좌의 약 70%는 다친 후 3개월 이내면 치유되고 3개월이 지나도 증세가 계속되는 경우에서 지속되는 통증에는 몸에 쌓인 어혈과 담음이 풀리지 않고, 사고 때 받은 정신적 충격 및 불안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혈순환의 저체를 일으킴으로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한의사의 진단을 받고 어혈제거 및 심신을 안정시키고 기혈순환을 촉진시키는 한약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전시 머리 받침(head restraints)을 하고, 머리와 받침의 간격을 약 5 cm 유지합니다. 이 때 운전 자세와 의자 등받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머리와 허리를 너무 앞으로 숙인다거나 의자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머리와 받침의 간격이 커지므로 손상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또 머리의 중심은 전체 머리 받침의 상단 바로 위에 있도록 미리 조절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 [조선일보 김종호 기자]
한국자동차공업협회는 새해 우리나라 자동차 보유대수가 ‘가구당 1대’를 돌파할 것으로 1일 전망했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2005년 11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1535만7169대로, 총 가구수 추계 1553만9000가구의 98.8% 수준이다.
자동차공업협회는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가 매년 35만대 이상 늘어나는 점을 감안, 올해 안에 ‘1가구당 1대’ 보유 국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공업협회 강철구 이사는 “새해는 자동차 산업 50년 만에 1가구 2차량 시대가 시작되는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