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자체 진단
1. 교통사고 일시 :
200 . . . : 경. 요일. 일출, 일몰 전ㆍ후, 낮, 밤, 심야, 새벽, 가로등, 조명 여부
2. 장 소 :
번지. 도로명 : 지명 : 경찰에 신고는 200 . . . :
3. 기 상 :
맑음, 흐림, 가랑비, 비, 폭우, 폭설, 눈 cm, 결빙, 폭풍 초속 m, 황사, 안개 가시거리 m
4. 사고종별 :
차 대 차, 차 대 사람, 차 대 오토바이ㆍ경운기ㆍ자전거ㆍ손수레, 차 대 전주ㆍ가로수ㆍ신호기,
단독사고, 화재 기타
5. 사고관련 차량과 운전자 인적사항, 피해사항
· #1차량번호 : 차종 : 운전자 : , 세, 주소, 전화 :
탑승자 명, 피해상황 :
· #2차량번호 : 차종 : 운전자 : , 세, 주소, 전화 :
탑승자 명, 피해상황 :
차 대 사람. 피해자 : , 세, 부상상태 : 주소, 전화 :
차량파손 초기 충격부분 - 최대충격부분 - 충격방향- 각도-
접촉 색상과 방향
파손부분, 하체부와 노면에 긁힌흔적 등을 실측하고, 사진촬영하여 증거물확보. 수리견적 원
6. 충돌지점, 충돌 후 이동 및 최종정지상태, 파손물 낙하 시점과, 흩어진 상태.
노면에 긁힌흔적 길이, 폭, 방향
7. 사고원인 : 음주, 약물, 과로, 졸음, 작난, 한눈 팔다가, 운전미숙, 안전거리 미확보, 시야장애,
접촉, 충돌, 추돌
아무 이유없이 급제동, 급감속·감속, 회전, 후진, 횡단, U턴, 과속( km/h), 차로변경, 추월,
중앙선 침범,
신호위반. 타이어 펑크, 사고 발생 사유 :
8. 속 도 : 사고 전 진행 속도 약 km/h, 사고직전 약 km/h, 충돌ㆍ추돌시 약 km/h,
모르겠다.
9. 차로 수 : 편도 1, 2, 3, 4, 5차로, 갓길. 차선 수 : 중앙선, 1, 2, 3, 4차선.
사고는 차로에서 났다.
10. 교통량 : 사고 당시에는 교통이 보통, 혼잡, 정체, 한적, 사고차량 외는 없었다.
11. 도로 : 제한속도 km/h I, +, Y, T, (, O자형, 교차로 내·부근, 직선, 평탄, 커브, 오르막,
내리막, 고개정상, 교량위, 터널안.
· 콘크리트, 아스팔트, 비포장, 단단한 흙도로, 단단한 모래도로, 자갈도로, 접도구역, 농로,
기타도로.
· 건조,습기,물기,빗물,눈,빙판,시가지,상가,주택가,APT,어린이 보호구역,학교ㆍ놀이터 앞,
공장, 농경지대, 산간 무인지대
· 고속도로, 차량전용도로, 버스전용도로, 국도, 지방도로, 소로(폭 m), 갓길,
전체 차도폭 m, 차로폭 m
· 골목,이면도로,일방통행,중앙선 표시(분리대),도로손괴,도로공사,방치물,공작물,
요철,파인곳,병목도로, 인ㆍ차도없음. 길가장 자리.
· 횡단보도,보도,안전지대, 과속 방지턱, 철길 건널목(자동 차단기, 경보기, 간수 유·무)
12. 운전자 : 운전상태는 좋았다. 보통이다, 기분이 좋았다, 안좋았다.
상대차 또는 사람을 약 m전에 보고 급제동을 바로했다. 못했다.
엑셀레다를 밟았다. 브레이크페달을 밟았다.
사고는 피할수 있었다, 없었다. 안전운전 조치를 했다. 못했다.
불가항력적이었다. 갑자기 나도 모르게 일어났다.주의를 했으나 받혔다. 받았다.
승객 승차 중, 하차 중, 차내에서 사고가 났다. 핸들 조작은 우로·좌로 틀었다. 똑바로 잡았다.
H·P 통화여부, 안전벨트 착용했다. 안했다.(조수석 탑승자는 명),
오토바이 안전모 착용했다, 안했다.
충돌되기 직전에 당황했다, 안했다. 운전면허증은 있다, 없다, 소지 안했다.
음주, 약물, 졸음, 과로, 질병, 고민, 정신이상, 정상운전했다. 운전경력은 년
전조등은 보통·상향조정 했다, 비상등·안개등, 미등을 켰다, 안켰다.
사고현장조치는
112와 119에 신고한 사람 과 시간은 사고지점은
무슨 술을 몇( )잔 마셨다, 안먹었다. 누구와 마셨나, 사고발생 몇시간전부터 마셨나요?
사고당시 속도는 약 km/h, 도주, 유기했다. 사고 후 바로 정차했다.
목격자는 구호조치는
방향지시등을 작동하지 아니하고, 또는 비상등만 켜고 좌회전, 우회전, U턴, 진입 · 후진하였다.
13. 진 행 : 쪽에서 방향으로,편도 차로중 차로로 직진, 우회전, 좌회전하였다.
정차중, 출발 중, 서행, 정지, U턴,후진,횡단, 도로 진입중, 차로 변경중, 추월(좌측·우측)중,
중앙선을 침범하여, 시속 약 km/h로 진행 중, 일방도로로, 역통행, 끼어들기,
보도로 km/h 로 진행중 차량 및 보행자를 충돌, 추돌, 접촉사고가 났다.
신호는 청색·황색· 적색 화살표 신호를 정지선에서 약 m전에 보고 논스톱으로,
서행으로 km/h로 진행했다.
정지선 전에, 걸치고, 건너서 정지하였다가 출발하여 m 진행 중 사고가 났다.
앞차를 약 m 전에 보았다,
표지판은 m전에 보고 km/h 로 진행하였다.
시야장애 : 건조물, 노적물, 입간판, 주·정차 차량, 급커브, 언덕, 산, 옹벽, 안개, 황사, 폭우,
폭설, 가로수, 풀등
사고지점은 사고 후 이동거리 및 최종 정지상태
14. 직선도로 : 약 m, 충돌지점은 파손물이 떨어진 시점은 떨어진 상태는
편도 차로중 차로로 진행중 상대차를 m전부터 중앙선을 넘어오는 것을 보고
좌측으로, 우측으로, 똑바로, 급제동으로 피하려고 하였다. 그대로, 무심코, 한눈 팔다가 앞차를
충돌하였다.
차로변경,추월시도,추월중(좌측,우측), 추월 완료하여 앞차를 충돌했다, 앞차 앞에는 장애물이
있었다,없었다.
앞차가 이유없이 m 앞에서 급제동·급감속하는 것을 보았다, 못보았다.
사고당시 속도 약 km/h
타이어 흔적(S·K) 시점은 중앙선에서 cm 떨어져서, 차로에서 앞,뒤 바퀴중
좌측 m, 우측 m, 폭 cm, 타이어 폭 cm, 무늬는 줄임.
타이어 흔적 모양은
충돌 후 이동거리 및 최종정지 상태는
15. 커브도로 : 약 m, 커브도로 진입 직전에, 커브도로 정상부근에, 커브도로를 돌아서자,
사고가 났다.
사고 당시 속도는 km/h, 중앙선 침범했다. 안했다.
커브 가시거리는 약 m, m전에 상대차를 보았다.
갑자기 나타났다. 피양조치는 급제동, 좌방향으로, 우방향으로 핸들을 조작했다.
충돌지점은 충돌 후 이동거리 및 최종정지 상태는
16. 신호등 있는 교차로 +, O, Y, T 자 교차로의 청색 초, 황색 초, 적색 초, 화살표 초,
교차로 내에, 전에, 정지선 전·후, 횡단보도에서 정지했다가 신호받고 m, 직진, 우회전중,
좌회전, U턴중에 사고가 났다.
진행 신호를 m 전에 보고 km/h로 차로 상으로 진행했다.
사고당시 차량통행, 신호대기 차량상태, 한적한 도로에 신호를 무시하고 진행했다.
황색신호를 정지선에서 약 m 전에 보았다. 청색신호가 황색으로, 황색이 적색신호로
변경되는 것을 정지선에서 약 m 전에 보고 약 km/h로 진행했다.
사고지점은
* 신호등 없는 교차로를 진입전 정지선에서 일시정지 또는 서행을 했다, 안했다.
진행속도 그대로 진행했다.
일시정지나 서행하면서, 전방 좌·우 차량을 확인했다, 안했다.선진입했다,안했다.
상대차를 보았다, 못보았다.
충돌 전 급제동을 했다. 안했다. 교통 표지판을 보고 서행했다.
직진, 우회전, 좌회전, U턴중에 사고가 났다.
교차로에 진입하자 마자, 교차로 중앙부근, 교차로를 거의 통과하였을 때 충돌이 되었다,
직진, 좌·우회전 중 충돌하였다.
- 사고현장의 충돌지점, 충돌방향, 최종 정지상태 등 약도 작성 -
사고당시 속도는 약 km/h.
사고지점은 충돌 후 이동거리 및 최종정지 상태는
17. 신호등 있는 횡단보도 :
보행자편 : 보행등화 작동시간 초, 점멸회수 회(초), 보행자 신호받고,
좌측⇔우측 보통걸음, 빠른걸음,뛰어서 횡단보도내, 부근, 차사이에서 차도로 건너갔다.
점멸(깜빡깜빡) 신호에 건너기 사작했다, 횡단보도 약 m 전에 보행자 신호를 보고 건너
갔다. 중앙선쯤 가니까 깜빡이더라, 거의 다 건넜을 때 충돌이 되었다,
충돌시 신호는, 상해정도(좌ㆍ우측) 키 cm, 몸무게 kg, 옷 색상은
충돌지점은 보행자가 튕겨서, 얹혀서 m 지점에 떨어졌다.
넘어진 상태는
차량편 : 차량진행 청색신호시간 초, 황색시간 초, 적색시간 초,
사고당시 속도는 약 km/h
정지선 약 m전에 적색, 청색, 황색신호를 보았다. 횡단보도 앞 정지선에서 정지했다가,
신호받고 m 진행하다가 보행자를 충돌했다,
횡단보도 전에,횡단보도 상에서, 지나서,보행자를 충돌했다. 진행속도 그대로
보행자가 좌측⇔우측으로 보통·빠른걸음, 뛰어서 횡단보도상으로, 부근으로,
대각선으로 건너가는 것을 전면으로,측면으로 충돌했다.
충격부분은 보행자를 본 거리는 m, 보행자의 옷 색상은
충돌지점은 충돌 후 정지된 거리는 m 정지상태는
*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
보행자편 : 횡단보도 건너기 전 좌·우 살펴 보았다.
차가 m쯤에서 오는 것을 보았다,못보았다.
횡단보도 내,부근,대각선,좌측⇔우측으로 보통, 뛰어서 건너가다가 충돌이 되었다.
차사이로 건너갔다. 횡단보도를 약 m 건너다가 충격이 되었다.
보행자의 키 cm, 몸무게 kg, 옷 색상은 상해정도(좌ㆍ우측)
충격지점은 충격지점에서 넘어진 곳까지 거리는 m 넘어진 상태는
차량편 : 정지선 전,부근,지나서,횡단보도에서 일시정지, 서행,급제동을 했다. 안했다.
진행속도 그대로 갔다. 보행자가 우측⇔좌측으로 건너는 것을 약 m 전에 보았다. 못보았다.
급제동했다, 못했다, 좌·우로 피했다.
진행속도 km/h 로 진행하다가 보행자를 충돌했다. 충격부분은
당시 속도는 약 km/h
충돌지점은 충돌지점에서 정지된 거리는 m 정지상태는
18. 목격자, 참고인 : 사고 발생과정, 사고현장만 목격한 자이다.
사고 당일 시간만에 나타났다. 2,3일후에 나타났다. 현수막 보고(일자)나타났다.
스스로 나타났다. 제3자가 종용하여 나타났다. 경찰서에 자진출두 진술, 종용진술,
목격자가 본 위치 m, 동기 정황 충돌지점은 사고내용은
사고 운전자와 관계있다,없다. 목격자를 확보했다,못했다. 겨를이 없었다.정신을 잃어 모르겠다.
목격자가 사고현장에 있었다,없었다.
전화를 받았다. 전화받은 날짜 만난 장소와 날짜 대화내용
19. 단독사고 : 전도, 전복, 추락, 도로이탈, 건조물·전주·가로수 충돌, 추돌, 접촉, 후진, U턴, 회전중,
직진, 운전자의 질병, 발작, 핸드폰 통화 중, 전방 주시태만, 한눈 팔다가, 작난, 무심코, 기타. 옷, 신발등 확인.
차 보관은, 공업사. 운전자는 다친사람은 사망 명, 중상 명, 경상 명
조수석 탑승자는 뒤탑승자 구호조치는 누가 했나요 견인은 누가
했나요 경찰에 신고 했나요 경찰 조사는 언제 했나요 음주, 약물 운전여부
환자입원 병원
사고현장 확인, 차내 유류품 · 신발위치ㆍ머리카락ㆍ혈흔흔적 확인, 차량외부 파손상태 확인,
자살동기
20. 도주(뺑소니) : 차량번호 (색상·차종) 신고는 누가 어디에 했나요 사고는 추돌,
충돌, 접촉시키고 도주, 도주 방향은 도주차가 사고낸 후 사고현장에서 사상자를 싣고,
그대로 두고(유기), 섰다가, 서행하다가,멈칫멈칫하다가,내려서 보고 도주했다.
사상자를 싣고 병원으로 바로 갔다. 목격자는 목격위치 m,
목격내용 : 목격자 이름 : 사고현장 보존 - 각종 증거물 보존.
주소 : TEL : 전화 제보자는 만나 보았나요
대화내용은
21. 사고현장 확보 : 충돌지점, 충돌 후 이동거리 및 최종정지 상태, 사고현장에 나타난 흔적 표시와
사고차량 파손부분, 충격방향과 각도 등 실측, 중앙선을 준하여 긁힌시점·길이· 폭, 깊이,
방향 실측, 파손물 떨어진 시점부터 끝까지 흩어진 상태는 타이어 흔적, (SㆍK)시점은
중앙선에서 cm 떨어져서, 앞, 뒤바퀴중 좌측길이 m, 우측길이 m, 폭 cm,
무늬 줄 실측. 실제 타이어와 노면흔적의 부합여부 확인.
사고현장 초동조치부터 사진촬영과 스켓치를 필히하여 증거물을 확보하여야 한다.
22. 안전사고 : 차량 시정장치 했다, 안했다. 제동·급제동을 했다, 안했다,
사이드 브렉 당겼다, 안했다. 진행중, 정차중ㆍ 출발중, 하차ㆍ승차중 사고가 발생했다,
난폭, 제동, 급제동ㆍ 급발진하다가 사고가 발생되었다,
보행자가 자신의 부주의로 인하여 사고가 났다, 도로에 넘어졌다, 누워있다가(음주나 졸음)
차에 걸려서, 밀어서 넘어졌다. 운전자 ·피해자 중 누구의 과실인가요.
23. 자동차 종합보험, 공제조합, 책임보험에 200 . . 일 가입했다, 안했다.
사고신고는 200 . . . 일 경찰에, 보험회사, 공제조합에 신고했다, 안했다.
24. 합 의 : 개인합의ㆍ 보험사 또는 공제조합과 합의 했다, 안했다.
경미한 사고는 당사자간의 합의가 유리하다,
미합의시 보험할증료, 행정처리(벌점) 형사처리 등 불리하다는 것을 알고 있나요.
25. 차량 고장 및 안전기준 위반 : 조향ㆍ제동장치, 엔진 시동불능, 여타고장, 화재, 전조등,
미등, 차폭등, 진한 썬팅, 펑크, 운전미숙 등으로 인한 정비불량(차주) 사고는 운전자 책임
입니다.
평소 고장이 있었다, 없었다, 잦았다. 적재물 위반했다, 안했다. 신고는
불법 부착물 부착했다,안했다.
전조등·미등·차폭등 비상등 작동 고장, 후미등, 번호판 가시불량으로 되었다, 정상이다.
적재초과 톤,적재물 높이 cm, 돌출부 cm, 과적, 높이,
돌출부 운행 허가 신고는
※ 사고현장 초동조치는 증거인멸 되기전에 인적(사람) · 물적(사고차, 노면에 나타난
흔적)증거를 확보하고 사고현장과 사고차량을 사진 · 스케치로 증거물을 실측하여
교통사고의 진단사항을 적용하면, 가해자와 피해자, 공소권 있음(형사처리)과 없음
(행정처리)의 판별이 정확하게 구분이 됩니다.
사고현장 약도를 작성하여 교통사고진단 25개 항목 중 해당사항을 검토하면
잘잘못을 스스로 가릴 수 있습니다. 본인이 #2차량인데도 #1차량으로 되었으면
신속하게 연락을 주시면 언제, 어디서나 바로 사고현장에 출동하여 조사 · 분석을
하여드립니다. 또는 내방하여 상담부터 하시겠습니까.
전화 또는 FAX로 보내 주시고 자문을 받겠겠습니까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교통사고는 경찰의 유일한 고유업무로 사고의 원인행위(비접촉 사고 포함)만
조사처리합니다.
초동조사(조치) 미비로 인하여 인적ㆍ물적 피해의 결과가 형사적, 민사적, 행정적으로
엄청나게 달라지는 것이 교통사고입니다. 자동차 보험·공제조합은 민사관계임으로
운전자의 과실 비율대로 보상처리하는 기관입니다.
※ 교통사고는 1곳에 10건이 발생하여도 사고 내용은 모두 다르게 나타납니다.
※ 사고현장과 사고차량의 스켓치는 별지나 뒷면을 이용하셔도 좋습니다.
20 . . . : 접수
'교통사고 후유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사고 후유증의 한방치료 (0) | 2013.01.03 |
---|---|
한방-교통사고 후유증 (0) | 2013.01.03 |
양방-교통사고 후유증 (0) | 2013.01.03 |
교통사고 처리요령 (0) | 2013.01.03 |